종신보험과 저축, 보험사에 속지말자
종신보험은 사회초년생의 목돈 마련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어제 금감원에서 소비자 경고 주의를 발령했습니다. 요새도 이런 사기꾼 같은 보험 설계사들이 있다는 사실에 정말 분노했습니다. 특히 10~20대 사회 초년생에게 피해가 집중 됐다는 사실에 너무 분노가 치미는데요. 이걸 보험 설계사들에게만 책임을 물어 욕을 한다면 실체를 잘 모르는 셈입니다. 물론 무개념 설계사도 욕하고 몸통인 생명보험사들까지 싸잡아 욕해야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hI3pI/btq6Vh9rLHy/h9zioNauqdVrhfe3mB1QN1/img.jpg)
제 주변에서 많이 겪은 경험이기 때문에 더 분노할 수밖에 없습니다. 수년전에는 변액 유니버셜로 장난질을 하더니 이번에는 연금 전환형 종신보험으로 장난질을 치네요. 확정금리니 고금리로 꼬시지만 결국 장난질입니다. 목돈 장만은 은행에서 적금으로 하는 게 제일 안전합니다.
단언컨데 사회초년생 입장에서 타 금융사 상품 대비 더 좋은 보험 저축상품은 없습니다.
재테크나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젊은이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건 보험은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해서 하등 쓸모가 없습니다. 재산 형성에서 보험을 아무리 크게 평가해 줘봐짜 부자들의 절세효과 정도입니다. 보험사는 특유의 운영비와 적은 규모의 펀드로 자금을 운용합니다. 거기에 보장도 들어가기 때문에 절대로 다른 수단보다 수익이 클 수 없습니다. 무개념 설계사들이 판치는 것도 다 보험사들의 실적 압박과 거짓 선동 교육 때문이죠. ‘아메리카노 한잔으로 목돈 모으기’ 같은 그짓뿌렁 자료를 아무렇지 않게 뿌립니다.
보험사 저축 상품은 보통 만기가 10년 이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만기보유리스크라는 것이 있습니다. 10년간 저축보험상품을 유지하는 비율은 반도 안됩니다. 만기전에 해지하면 손해는 고스란히 고객 몫입니다. 보험사는 십원한푼 손해를 안봅니다. 그렇게 돈을 벌어왔죠. 만기 리스크를 짊어지는데 주는 금리는 2~3%의 한심한 수준입니다. 최소 5%는 줘야죠. 없어서 그렇지 만약 10년짜리 정기예금이나 적금이 있었다면 지금도 절대 2~3%대의 한심한 금리는 아니었을 것입니다. 몇푼 안되는 금리를 주면서 그것도 길어야 2년 3년짜리 적금이랑 금리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만기보율 리스크를 감안할 때 저축성 보험도 장점이 없습니다. 심지어 이번에 금감원에서 주의를 내린건 저축보험도 아니었네요. 아무리 지인이 팔더라도 상품구조를 모르는 것에는 투자하면 안됩니다. 기억합시다. 내가 이해 못하고 모르는 것에 조금이라도 돈을 내주면 그 돈은 그 때부터 내돈이 아닙니다.
보험사는 분명 장점이 있습니다. 리스크를 대비하는 것, 그게 보험사 본연의 업무립니다. 보험사는 태생적으로 공포를 팔면서 성장합니다. 근데 우리가 인지하지 못했던 공포까지 굳이 만들어내죠. 특히 자기들이 관여하지 않아도 되는 자산형성까지 자기들이 해줄 수 있다고 거짓말을 하죠. 아주 악질입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30년간 절대적 진리였던 금언을 전하며 글을 마칩니다. 참고로 저축은 투자가 아닙니다.
보장은 보험으로 저축은 적금으로.
'경제이야기 > 모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빅스텝 금리인상, 주식 시장 반응은? (0) | 2022.08.02 |
---|---|
연 7% 고금리,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정기적금 (2) | 2022.01.19 |
연 7% 고금리 적금, 우리 Magic 적금 by 롯데카드 (0) | 2021.05.03 |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한 절대적 원칙 (0) | 2021.05.02 |
재테크의 시작이라는 통장 쪼개기 (0) | 2016.02.03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미국의 빅스텝 금리인상, 주식 시장 반응은?
미국의 빅스텝 금리인상, 주식 시장 반응은?
2022.08.02 -
연 7% 고금리,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정기적금
연 7% 고금리,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정기적금
2022.01.19 -
연 7% 고금리 적금, 우리 Magic 적금 by 롯데카드
연 7% 고금리 적금, 우리 Magic 적금 by 롯데카드
2021.05.03 -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한 절대적 원칙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한 절대적 원칙
2021.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