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끝나는 저축, 연금상품?!
2015년이 이제 2일 남았습니다. 2015년이 다 끝나가는 마당에 2015년까지인 상품을 왜 소개하냐고요? 원래 막차는 마지막에 타야 제 맛인 법입니다. 2016년에 이 글을 보고 계시다면 그냥 뒤로 가기를 눌러주시거나 다른 글을 봐주시면 됩니다. 이 포스팅은 이틀밖에 쓸모없는 포스팅이지만 그냥 남기기로 하겠습니다.
2015년에 끝나는 상품 중 가장 혜택이 좋은 상품을 고르라면 지체없이 재형저축과 소장펀드를 골라야합니다.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고 오랜 모집기간을 가져왔기 때문에 언제 끝나는지 모르시는 분들도 조금 계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상품은 2015년까지만 판매를 할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이 왜 좋은 지 빠르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다 끝나가는 상품 오래 설명해도 들어줄 사람도 없을 테니까 말이죠. 일단 보기 쉽게 표로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림에 오타가 있네요. 별 수 없습니다. 막차가 원래 다 그렇죠. 급하게 포스팅하고 지나가려고 합니다. 검색하면 지겹게 나오는 그림입니다. 그만큼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가장 큰 혜택은 바로 절세 혜택입니다. 비과세 이게 뭐냐! 바로 이자소득세를 면제 해주겠다는 것입니다. 이자소득세를 면제해 주는 상품은 제형저축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세금 우대를 통해 9.5%의 세금만 내는 경우도 있고 협동조합에 조합원으로 가입하여 출자하면 받을 수 있는 상품도 있습니다. 소득공제! 이것은 나중에 연말정산시 납입금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소득공제 해주겠다는 것입니다. 비과세와 소득공제에 대해서는 나중에 알아보고 재형저축과 소장펀드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재형저축
간단합니다. 일단 가입하고 보세요. 이자에 대해서 세금을 안메기겠다는 겁니다. 만기가 부담스러우신 분이 있을 것입니다. 7년이라니요. 자유납이므로 월 1만원을 넣든 100만원을 넣든 상관이 없습니다. 최소 납입금액이 1만원인데 이것만 넣어둬도 됩니다. 왜냐하면 일단 금리가 일반 적금대비 높습니다. 게다가 비과세입니다. 가입기간이 길어서 가입안하겠다는 분들이 있는데 재형저축은 활용방법이 무지막지합니다. 막말로 1만원씩 저축하면서 깡통으로 가지고 있다가 막판 1년 스퍼트 달려서 1년 만기 적금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재형저축은 두가지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 개는 고정금리형이고 다른 것은 변동금리형입니다. 당연하게도 변동금리형이 금리가 더 높습니다. 일단 4% 이상은 먹고 들어갑니다. 또 고정 금리형도 3%는 가뿐히 넘고 시작합니다. 아래 금리를 보시죠.
(출처 : http://www.consumer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505864)
이런거 원래 직접 만드는 편인데 시간이 없어서 그냥 퍼왔습니다. 오늘 제가 가입한 금리 그대로이니 다르지 않을 겁니다. 일단 금리부터 다른 1금융권 금리랑 차원이 다릅니다. 높죠.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서민형과 청년형이 있습니다. 내가 작년기준 총 급여2,500만원 이하다. 작년에 취직했다. 일단 가입하고 설명 듣습니다. 서민형과 청년형은 가입기간이 길어서 부담스러우면 일단 3년 부으라는 것입니다. 비과세 혜택 주겠다는 거죠. 물론 우대금리는 못받습니다. 그래도 저게 어딘가요. 한도가 분기당 300만원이니 뭐.. 돈이 많다면 그냥 월 100만원씩 300만원을 다 때려 박습니다. 그럼 3년기준 원금이 3,600만원이고 농협을 기준으로 4.3% 이자율을 먹이면 이자는 240만원 정도 나옵니다. 다른 상품이라면 240만원에 대해서 이자소득세 15.4%를 떼갑니다. 37만원이 세금으로 그냥 날아갑니다. 손에 남는 건 200만원 정도 뿐이 없습니다. 하지만 재형저축은 그게 없죠. 그냥 다 받습니다. 가입기간이 길면 길수록 아낄 수 있는 세금은 많아 집니다. 심지어 내년부터 농특세도 안냅니다. 그럼 이걸 어떻게 활용하느냐
청년형이나 서민형은 일단 재형저축을 두개 가입합시다. 하나는 변동금리형이고 하나는 고정금리형입니다. 금리가 쎈 변동금리형에다가 몰빵하고 고정금리형을 3년간 살려둡니다. 변동금리형이 끝나고 금리가 고정금리형에 미치지 못하는 순간 변동 금리형 입금을 최소화하고 고정금리형에다가 입금을 하는 식으로 조절하면 됩니다. 납입액이 적었다면 변동금리형을 그냥 박살내고 초반에 분기별 300만원씩 최대로 고정금리형에 넣으면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일반형 재형저축에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 소장펀드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그냥 펀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근데 왜 가입을 하라고 하느냐. 5년 이상 유지시 40% 소득공제입니다. 일년에 600만원까지 불입이 가능하다는 것은 월 50만원씩 넣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근데 펀드다 보니 원금손실의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일단 가입하고 설명을 들어 봅시다. 펀드는 기본적으로 경제에 대해 어느정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 가입하는 상품이죠. 투자상품이다 보니 원금 손실의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소득공제라고 해도 이게 뭐가 도움이 되는 지 도대체 알 수가 없습니다. 일단 600만원을 넣어다는 계산하에 소득공제금액은 연간 240만원만원입니다. 이전에 살펴보았던 과세표준 1200만원 이하와 2400만원이하의 세율 15%를 적용해보았을때 최소 14만원 최대 38만 4천원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인적공제 등 다른 공제가 빈약할 때 가입을 한다면 수익률이 0%라도 그냥 이자가 붙는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문제는 수수료가 있습니다.
펀드 이용시에는 무조건 수수료가 붙기 마련입니다. A형 B형 C형이라고 선취 수수료, 후취 수수료 등 수수료를 많게는 7% 이상을 떼기도 합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소장펀드를 이용하면 이 수수료가 어느정도 상쇄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전환형 소장펀드도 있으니 펀드에 관심이 있으시면 계정이라도 남겨두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이상품은 투자상품인 만큼 호불호가 있으며 재형저축만큼 강추하지는 않습니다.
빠르게 설명해서 이정도 입니다. 모르겠다 믿음이 안간다 하시는 분들은 일단 소액으로 계정을 남겨 두시고 나중에 좋습니다. 소액에서는 중도 해지해도 크게 손해 안보는 상품이니까요. 마지막으로, 가입하겠다고 은행으로 찾아가시기 전에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소득증명확인서를 꼭 떼 가시기 바랍니다. 우리은행에서는 2부를 요청하기도 했는데요. 그리고 주민등록번호나 주소는 안 나오게 하셔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괜찮은 기사 하나 링크하고 끝내려고 합니다. 한 해 마무리 잘 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경제이야기 > 불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감원에서 만든 금리비교 사이트 '금융상품한눈에' (1) | 2016.01.28 |
---|---|
잠자는 계좌를 깨워보세요 (0) | 2016.01.27 |
연말공제)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에 따른 공제 대상 알아보기 (0) | 2016.01.26 |
은행 적금 금리 비교 (0) | 2016.01.22 |
① 투자를 위한 준비 단계<가계부작성> (0) | 2015.06.03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잠자는 계좌를 깨워보세요
잠자는 계좌를 깨워보세요
2016.01.27 -
연말공제)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에 따른 공제 대상 알아보기
연말공제)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에 따른 공제 대상 알아보기
2016.01.26 -
은행 적금 금리 비교
은행 적금 금리 비교
2016.01.22 -
① 투자를 위한 준비 단계<가계부작성>
① 투자를 위한 준비 단계<가계부작성>
201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