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절세를 위한 계좌 ISA 가입법
요새 부쩍 포스트를 많이 올리고 있습니다. 원래 이렇게 부지런한 사람은 아닌데 연초가 되니 뭔가 새로운 것을 자꾸 알아보게 됩니다. 제가 이렇게 포스팅을 하는 것은 알아본 것을 쉽게 정리하면서 더 머리 속에 각인을 시키고자 하는 이유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전 포스트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후속편입니다.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온탕과 냉탕을 왔다갔다하는 증시입니다. 오늘은 주식장은 개미들의 매도세가 두드러지는 장세였습니다. 얼마 전, 저도 국내 주식 전량을 매도하였는데 그때문인지 요새는 삶의 낙이 하나 줄어
kooljam.tistory.com
신탁형과, 일임형 어느 것을 골라야할까?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운용방식에 따라 크게 신탁형과 일임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밖에도 투자중개형이 있지만 이건 가입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서 신탁형은 계좌를 개설하고 내가 직접 굴리는 것이고 일임형은 전문가가 설계한 상품에 의해 굴리는 것입니다. 그냥 펀드 가입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구 분 | 신탁형 | 일임형 |
특징 | 투자자별 맞춤으로 개인별로 상품을 골라 직접 투자 | 구체적 운용지시 없이 전문가가 투자자의 성향에 맞춰 투자 |
모델포트폴리오 제시 | 금지 | 허용 |
상품 교체 | 직접 교체 | 전문가에게 위임 |
간단히 특징만 살펴보면 위와 같습니다. 저는 직접투자하는게 보람도 있고 손해를 봤을 때도 덜 쓰리기 때문에 신탁형으로 골랐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신탁형에 가입을 합니다. 2020년 11월 말기준으로 신탁형은 170만 계좌, 일임형은 20만 계좌 정도입니다. 그리고 신탁형을 골랐으면 증권사에서 가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가입하면 상장지수펀드 ETF 거래가 쉽지 않을 뿐더러, 세제 개편안이 18일 확정되면서 올해 안으로 주식도 거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KB국민은행을 빼면 크게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주식매매시스템을 갖추기에는 비용이 많이들고, 주식은 원래 양도소득세가 없기 때문에 ISA계좌를 통해 운용하는데 실익이 크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pPRV/btqT18jZjuN/fqNv7xj8vYokKVz8jmMQRK/img.jpg)
신탁보수와 수수료도 비교 해봐야합니다.
증권사에서 신탁형으로 가입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각 증권사의 신탁보수도 따져봐야합니다. 각 증권사별로 신탁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이죠. 이를 알아보기 위해 금융투자협회 ISA다모아 사이트에도 접속해 보았는데 개판입니다. 저는 주목적이 ETF 투자인데 삼성증권은 홈페이지에 떡하니 0.1% 신탁수수료를 부과한다고 써있는데, 금융투자협회 신탁형 수수료 비교공시에는 없다고 나옵니다. 그럼에도 가장 유용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아래의 사이트입니다.
금융투자협회
dis.kofia.or.kr
제가 몇가지 주요 증권사를 비교를 해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키움증권은 일임형에만 주목하고 신탁형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개별상품 보수는 별도이며, 신탁보수만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사 | 신탁보수 |
미래에셋대우 | 0.05% |
삼성증권 | 0.10% |
DB금융투자 | 0.10% |
NH투자증권 | 0.10% |
한국투자증권 | 0.10% |
하이투자증권 | 0.30% |
하나금융투자 | 0.10% |
KB투자증권 | 없음 |
상기 내용은 한번 확인이 필요합니다. 기본 수수료 외에 상품별 수수료가 별도로 더 들어갑니다. 그 외에도 한화투자증권, 현대차증권도 신탁보수가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상품별 거래 수수료는 별도입니다. 금융투자협회 ISA다모아 사이트에서 어느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수수료 구간이 천차만별이고, 시점에 따라 유동적인 경우도 있으므로 자세히 알아보셔야합니다. 하지만 일임수수료는 대부분 0.10% 이하이기 때문에 절세 효과와 비교했을 때, 크게 비교대상이 아닐 듯 싶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증권사 또는 편리하게 매매가가능한 곳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저는 키움과 한투를 쓰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미래에셋으로 갈아탔습니다. 키움은 신탁형에는 관심이 없는 듯 보입니다. 아마도 영업점을 방문해서 가입해야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듯 싶습니다. 한투는 MTS가 별로라 새롭게 미래에셋대우로 가입했습니다. 이용이 편리하다면 향후에 연금저축펀드도 미래에셋대우로 가입할까 생각 중입니다.
가입을 위해서 필요한 것
가입을 하려면 일단, 신분증만 들고 지점에 내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시키는 대로 하면 되죠. 다만, 서민형 가입 대상(소득 5천만원 미만 또는 종합소득 3천 500만원 미만 농어업인)은 소득증빙이 필요합니다. 홈텍스에 들어가셔서 아래의 메뉴에서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7gekL/btqT18RQC1x/c6VLkQR3mvw0xKKweOUmlk/img.png)
꼭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가입용을 떼서 가야합니다. 소득이 확인되고 별 문제가 없다면 금방 계좌가 만들어 집니다. 원활한 거래를 위해서 휴대폰용 거래시스템(MTS)를 설치하시면 좋습니다. 저는 미래에셋대우증권을 사용해서 미래에셋 대우 M, Stock과 m.ALL 어플을 깔아 사용 중입니다.
'경제이야기 > 불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황 속 불황대비, 7월 투자는 어떻게? (0) | 2021.07.08 |
---|---|
개인 투자자일 수록 더 중요한 벤치마크 (0) | 2021.06.14 |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11) | 2021.01.20 |
<삼영무역> 비상장 유망기업을 간접소유 하는 방법 (2) | 2020.10.29 |
구글 에드센스 지급계좌 추가하기 (4) | 2019.01.23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호황 속 불황대비, 7월 투자는 어떻게?
호황 속 불황대비, 7월 투자는 어떻게?
2021.07.08 -
개인 투자자일 수록 더 중요한 벤치마크
개인 투자자일 수록 더 중요한 벤치마크
2021.06.14 -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2021.01.20 -
<삼영무역> 비상장 유망기업을 간접소유 하는 방법
<삼영무역> 비상장 유망기업을 간접소유 하는 방법
202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