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일 수록 더 중요한 벤치마크
투자 수익률이 좋은 경우는 대부분 시장이 좋아서인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두가 엄청난 투자자인 듯 빙의되어 투자를 하고 있는 지금, 개인 투자자 중에서도 특히 초보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요인인 벤치마크에 대해서 오늘은 포스트 해보고자 합니다.
투자성과의 가장 객관적인 지표, 벤치마크 활용법
투자는 시장을 알아가는 것이지만 나를 알아가는 것이기도 합니다. 나의 투자성향은 어떤 것이 있고 내 성격의 단점은 무엇인지 아는 것이 투자에서는 정말 중요합니다. 예를 들자면 내가 손실을 최소화 하는 투자를 좋아하는지, 아니면 성급하게 가격이 내리면 손절을 치고 공격적인 투자를 즐겨하는 성향인지를 파악해야합니다. 근데 그런 성향을 파악하고 나면 내가 지금 하고 있는 투자방식이 옳은지 끊이없이 확인하고 수정을 해야합니다. 바로 거기서 필요한 것이 벤치마크입니다.
내 투자수익률을 수시로 시장수익률과 비교해야합니다.
벤치마킹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벤치마크 대상을 수시로 확인하면서 나의 수익률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ETF들은 수시로 벤치마크와 상관계수를비교해서 오차율, 추적오차, 괴리율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수시로 기초자산과 투자수익률을 비교하고 있는 것이죠. 우리가 투자를 할 때도 순전히 내 실력으로 돈을 번 것인지, 단순히 시장이 좋아 편승한 것인지 분간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분간을 시작하게 되면 겸손한 마음과 함께 시장에 대한 존경심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내가 잘해서 수익률이 좋은게 아니고 시장이 좋아서 수익률이 좋은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지수 ETF를 구입해서 수익률을 함께 보자
그럼 이렇게 중요한 벤치마크를 어떻게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을까요? 가장 쉽고 단순한 방법은 내가 투자하고 있는 시장의 대표지수 ETF도 매입하는 것입니다. 이전글에서는 지수를 투자자산의 50% 정도 편입하는 것이 좋다고 했습니다. 내가 자의적으로 투자하는 것도 좋지만 KOSPI200처럼 시장이 판단하는 우량주에 자동으로 투자하면서 수익률을 같이 가져가는 것이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마음이 편한 것이 사실입니다. 투자비중과 관계없이 대표 벤치마크 지수는 꼭 가져가야합니다. 개인투자자일수록 그리고 초보 투자자일수록 필수적입니다.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한 절대적 원칙
얼마 전 휴대용 블루투스 키보드를 하나 구매했습니다. 그에 관한 내용은 이미 지난 포스트에서 이야기를 했습니다만, 산지 얼마 안된 휴대용 키보드를 손에 익히기도 할겸 휴대폰을 가지고 포
kooljam.tistory.com
그럼 어떤 종목을 가져가야하는가? 앞서 말씀드렸듯이 대표지수는 꼭 가져가야합니다. KOSPI, KOSDAQ을 추종하는 ETF는 반드시 포트폴리오에 편입시키세요. 또한 미국 주식에 투자중이라면 S&P500지수를 추종하는 VOO나 나스닥을 추종하는 QQQ는 반드시 가지고 수시로 실적을 비교해야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벤치마크를 가져가는 것도 좋습니다. 현물에 투자하는 경우는 원유나 금과 연동된 ETF를 함께 가져가는 것도 좋고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경우에는 달러에도 투자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니 결국 ETF투자에 관한 포스트가 되었네요. 그렇다면 제가 예전에 쓴 글을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한 없이 솟는 코스피, ETF로 투자하자
장미대선이 끝난지도 벌써 두달이 훌쩍 지났습니다. 그동안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지만 언제 그랬냐는 듯, 세월의 그늘 속으로 사라져 가고 있고 우리네 삶은 한발짝 더 나아가고 있습니다. 정
kooljam.tistory.com
원유에 투자하는 ETF 상품
안녕하세요. 정꿀잠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기름에 투자하는 상품에 대해서 계속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2019/01/08 - [Financial Freedom/Market Report] - 기름값, 그 바닥은 어디일까? 아래 네 가직 종
kooljam.tistory.com
코스닥, ETF로 투자하라
코스닥의 수상한 움직임 올해 초 코스피 상승과 관련해서 ETF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한 포스팅은 ETF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이었는데요. 이번에 다시 코스닥 이벤트가 발생해서 뒤늦
kooljam.tistory.com
모두가 전문투자자인 듯 투자하는 지금이지만 시장이 좋아서 수익률이 좋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항상가지고 시장앞에서 겸손해야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장뿐만 아니고 정부의 정책과 미래 전망을 예측하면서 내가 가지고 있는 투자능력은 지금 어느 수준이고 수익률은 어느정도 되는지 꾸준히 확인해보아야합니다. 이 과정은 수익률이 좋을 때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수익률이 낮을 때는 반성하고 투자원칙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제공해 줍니다.
'경제이야기 > 불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하반기 금리상승과 자산 배분 전략 (0) | 2021.08.02 |
---|---|
호황 속 불황대비, 7월 투자는 어떻게? (0) | 2021.07.08 |
투자 절세를 위한 계좌 ISA 가입법 (4) | 2021.01.25 |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11) | 2021.01.20 |
<삼영무역> 비상장 유망기업을 간접소유 하는 방법 (2) | 2020.10.2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21년 하반기 금리상승과 자산 배분 전략
21년 하반기 금리상승과 자산 배분 전략
2021.08.02 -
호황 속 불황대비, 7월 투자는 어떻게?
호황 속 불황대비, 7월 투자는 어떻게?
2021.07.08 -
투자 절세를 위한 계좌 ISA 가입법
투자 절세를 위한 계좌 ISA 가입법
2021.01.25 -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ETF 존버족을 위한 절세계좌, ISA
2021.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