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②]연말정산시 별도로 챙겨야 되는 것
연말정산 특집 2탄입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연말정산은 정말 별거 없습니다. 그 과정이 중요할 뿐 지금 시점에서는 사실 할게 없죠. 이런 저런 서류만 잘 준비해서 가져다 주면 됩니다. 대부분은 연말정산시스템에 자동으로 등록이 되기 때문에 따로 준비할 것은 많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꼼꼼하지 못한 국세청이 책임지지 않는 것이 몇가지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
■ 월세는 계좌이체로
우선 월세도 공제가 됩니다. 월세 공제의 경우는 소득 증빙을 해서 별도로 청구해야합니다. 증빙이 편리하도록 계좌이체를 통해 월세를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점은 월세계약서는 전입신고가 꼭 되어있어야합니다. 확정일자만으로는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주민등록등본상의 주소와 월세 계약서 상의 주소가 일치 해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기부금 공제를 위해 영수증 챙기기
나라에서 정한 단체에 기부를 했을 경우에도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단체와 공제율이 각각 다릅니다. 기부금은 법정기부금, 지정기부금, 우리사주조합기부금, 정치자금기부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법정기부금/지정기부금 : 종교단체, 사회복지법인, 학교, 병원, 학술단체, 장학단체 ,문화단체, 환경보호 단체에 지출하는 기부금, 이재민구호금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국방헌금, 특별지난지역 자원봉사 용역, 기부금대상 민간단체에 지출하는 기부금, 조합, 협회에 지출하는 회비 등
-
정치자금 기부금 : 정당(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포함)에 기부하는 정치자금
-
우리사주조합 기부금 : 우리사주조합원이 아닌 자가 우리사주조합에 주출하는 기부금
기부금은 근로자 본인은 물론 법정기부금과 지정기부금에 한하여 기본공제대상의 기부금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법정기부금과 지정기부금은 해당 연도 기부금의 한도가 다 찼을 경우 5년간 이월 공제가 가능합니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정부 정책공감 블로그>
기부금을 세액공제 받으려면 필요한 서류들을 지참해야 합니다. 기부금 명세서와 기부금 영수증 또는 국세청 소득공제 내역이 필요합니다. 자세한 서류는 아래를 보시면 됩니다.
기부금 명세서와 기부금영수증 또는 국세청소득공제내역
- 전년도에 이월된 기부금이 있고 이월공제 받기 위해서는 전년도 기부금명세서를 제출해야 하나 계속 근로자는 제출하지 않음
-
기부금을 받는 단체가 기부금을 국세청에 자료제출 하는 것은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국세청에서 제공하지 않을 경우 기부금영수증을 본인이 제출해야 함
-
개별 종교단체기부금은 기부금영수증 외 소속(종파)증명서나 법인설립허가증 첨부(총회 또는 중앙회 등이 주무관청에 등록되었음을 입증하는 증빙서류)
-
정치자금기부금의 경우 정치자금법 및 정치자금사무관리규칙에 정하고 있는 정치자금영수증제출
- 기탁금 수탁증 (기탁금의 경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http://www.nec.go.kr) → 기탁금 기부센터 → 기탁금 기부 → 영수증 발급"에서 영수증 인터넷 발급)
-
당비 영수증
-
무정액 영수증(후원금액이 정해지지 않고 액수를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는 후원금)
-
정액 영수증(금액이 정해져 있는 후원금)
■ 의료비 및 교육비 공제
의료비 공제는 자동으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등록이 되서 손쉽게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더 살펴보아야 할 것은 보청기, 안경, 렌즈 등도 이제는 의료비 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연말정산에서 이러한 항목을 공제 받으려면 관련 영수증을 제출해야 합니다. 또한 본인의 대학원,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수강료의 경우도 교육비 공제에 포함됩니다.
'경제이야기 > 모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연납과 요일제로 자동차세 아끼기 (0) | 2016.01.11 |
---|---|
새해엔 신용카드부터 바꾸자 (0) | 2015.12.30 |
신용카드혜택 제대로 알아보기 (0) | 2015.12.28 |
[연말정산 개념잡기] 연말정산은 어떻게 하는 걸까? (0) | 2015.12.23 |
주거래 은행이 우리은행이라면 행복도서관으로 싸게 책 구매하세요 (0) | 2015.12.18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새해엔 신용카드부터 바꾸자
새해엔 신용카드부터 바꾸자
2015.12.30 -
신용카드혜택 제대로 알아보기
신용카드혜택 제대로 알아보기
2015.12.28 -
[연말정산 개념잡기] 연말정산은 어떻게 하는 걸까?
[연말정산 개념잡기] 연말정산은 어떻게 하는 걸까?
2015.12.23 -
주거래 은행이 우리은행이라면 행복도서관으로 싸게 책 구매하세요
주거래 은행이 우리은행이라면 행복도서관으로 싸게 책 구매하세요
2015.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