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KJ'S REASONABLE STO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J'S REASONABLE STORY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KJ'S REASONABLE STORY

주식과 채권, 재테크를 공부하면서 맥주, 커피, 맛집탐험과 여행에 관심이 많은 평범한 블로거

증시 상승을 이끄는 1월 효과, 정말 있는 걸까?

  • 2019.01.17 19:58
  • 경제이야기/알아보기
반응형

새해가 밝았습니다. 저번 한해동안 주식을 하는 사람들은 너무 힘들었습니다. 고난의 18년이었습니다. 

새해에는 정말 좋은 일만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1월만 되면 사람들은 새로운 기대감에 한해를 시작하곤 합니다. 증시도 그렇다는 속설이 있죠. 다름아닌 1월 효과입니다. 1월 효과에 대한 의견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분분합니다. 

그렇다면 1월에만 투자하면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일까요? 오늘은 1월 효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주요국의 대표 지수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러시아 RTF지수부터 한번 보겠습니다.오 12월 말부터 무지하게 뜨고 있습니다. 거의 15% 포인트나 떴는데요.

대표지수로 치면 엄청난 상승세 입니다.





다음은 미국 다우산업지수입니다. 역시 12월 말부터 완만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있습니다. 12월 24일과 비교하면 무려 2,400포인트나 뜨며 10%를 넘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수가 10% 수준으로 변동하는 큰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국 상해 종합지수입니다. 위의 나라보다는 조금 덜하지만 역시 1월들어 약간 상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세 나라의 대표지수를 보니 1월 효과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제 매년 1월에 전 재산을 꼬라박으면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깁니다. 

.


주식을 그러게 쉽게 바라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에게 친숙한  KOSPI 지수를 가져와 봤습니다. 이번에는 무려 6년치 자료입니다. 

아래의 까만 박스가 2014년부터 1월에 해당하는 곳입니다.



최근 2년간 우리나라의 1월은 정말 행복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전은 뭐 그냥 그저 그런 행보를 보입니다. 심지어 2014년과 2016년에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히려 강한 반등을 보이는 때는 주로 4월입니다. 1월 효과라고 거창하게 말은 붙였지만 크게 신뢰가 가지는 않습니다. 


물론, 연말 자금시장은 굉장히 위축되기 마련입니다. 채권 시장도 그렇고 주식도 한숨 고르는 때 입니다. 그렇다고 1월이 되자마자 

"자! 이제 다시 시작해 볼까?" 하고 대규모 자금이 들어와 주식시장을 휘젓지는 않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에널리스트의 치열한 고민과 결정권자의 선택이 함께 맞아야 들어가는 것이지요. 1월효과가 뭔가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것처럼 들리기는 하지만 

6년치 KOSPI지수에서 보듯이 1월 효과가 크게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2017년 1월의 강한 반등 위에 급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1월 효과라는 말이 있다는 것말 알아가시고 투자는 신중하게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경제이야기 >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챙겨야 하는 올해부터 달라지는 연말정산  (0) 2019.11.22
맞벌이 부부를 위한 연말정산 꿀팁  (0) 2019.11.20
미국채 장단기 금리차 축소의 의미  (0) 2019.01.30
기름값, 그 바닥은 어디일까?  (0) 2019.01.08
비트코인은 투기인가?  (0) 2018.01.13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맞벌이 부부를 위한 연말정산 꿀팁

    맞벌이 부부를 위한 연말정산 꿀팁

    2019.11.20
  • 미국채 장단기 금리차 축소의 의미

    미국채 장단기 금리차 축소의 의미

    2019.01.30
  • 기름값, 그 바닥은 어디일까?

    기름값, 그 바닥은 어디일까?

    2019.01.08
  • 비트코인은 투기인가?

    비트코인은 투기인가?

    2018.01.13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KJ'S REASONABLE STORY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KJ'S REASONABLE STORY

  • KJ'S REASONABLE STORY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Tag
  • Media
  • Location
  • Guest
  • Admin
  • Write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330)
    • 일상이야기 (108)
      • 일상 이야기 (10)
      • 영화, 전시회, 연극 (19)
      • 책 (44)
      • 여행 (27)
    • Introduce KJ (1)
    • 경제이야기 (66)
      • 모으기 (16)
      • 불리기 (26)
      • 알아보기 (24)
    • 음식이야기 (75)
      • 먹는 곳 (56)
      • 음식 정보 (17)
    • 이건 좀 다른 이야기 (35)
      • 영자 번역 (15)
      • 별 볼일 있는 세상 (8)
      • 노하우 (10)
    • 테크 이야기 (43)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투자
  • 맛집
  • 주식투자
  • 재테크
  • 춘천맛집
  • ETF
  • 독서후기
  • 코스피

나의 외부 링크

정보

정꿀잠의 KJ'S REASONABLE STORY

KJ'S REASONABLE STORY

정꿀잠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정꿀잠.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